강북산부인과 여성 감기와 같은질염으로 고생중이라면
강북산부인과 여성 감기와 같은
질염으로 고생중이라면
여성분들은 면역력이 떨어지면
여성 질환에 노출되기 쉬운데요.
대표적으로 감기처럼 나타나는
질염에 대해 혹시 알고 계신가요?


강북산부인과 에이치큐브 병원에서는
분비물과 냄새가 나는
질염 증상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질염의 원인>
- 스트레스,음주, 불규칙적인
생활로 인한 면역력 저하
- 세균 감염
- 피임약 및 항생제 복용
- 꽉 끼는 옷이나 속옷
정상세균 층에 변화가 생겨
발생하는 질염은 과도한 질 세정제의
사용, 잦은 성관계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균형이 깨져
발생하게 됩니다.
정상적인 질 분비물은
맑고 냄새가 없으며 약산성을
유지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질염의 종류와 증상에도 차이가 있으며
폐경 후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위축성 질염은
질 분비물이 감소하며
황색 분비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곰팡이균의 일종인 칸디다성 질염은
가려움증과 성교통 배뇨통을
동반하며, 흰색의 치즈와 같은
분비물이 발생하며,
임산부와 당뇨병 환자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과로와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생활 습관, 과도하게
질 세정제를 이용하는 경우
세균성 질염에 노출되기 쉬우며
생선 비린내와 같은 악취가 나는것이
특징입니다.
강북산부인과 에서
초기에 치료받지 않으면
만성 질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골반염과 임신 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자궁 건강에 위협을 주는
질염을 초기부터 철저하게 케어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성 경험이 없거나 산부인과 진료가
부담스러운 분들도 걱정말고
강북산부인과로 내원하셔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성 경험이 없는 여성분들은
질 검사, 골반 검사, 피검사
성경험이 있는 여성분들은
성병 검사, 골반 검사를 해야하고
생리불순 혹은 임신 중절을 한 경험이
있는 경우 더욱 정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냉 대하가 있는 경우/
사춘기가 지나도 월경이 없는 경우
질 검사를 진행>
냉 대하가 문제인 분들은 질 검사를,
사춘기가 지나도 월경이 없는 분들은
선천적 기형으로 인해
질 폐쇄나 질 형성 부전을 확인합니다.

<월경이 불규칙적인 경우>
불규칙적인 생리는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배란 이상인지 자궁이나
질의 이상인지 배란장애라면
어느 부분의 이상인지를 감별하여
초기에 치료하고, 도움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골반검사>
골반 내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자궁의 혹, 기형 여부
난소 물혹 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일반적으로 빈혈, 혈액형, 간염
간기능, 소변 검사 등 함께 미리
풍진 검사를 시행해 항체가 없을 시
접종을 해야합니다.
<성병검사>
여성 분비물에 대해 균검사나
간단한 현미경 검사로 확인이 되나
실제 많은 성병은 혈액 검사
혹은 바이러스 감사가 따로 필요합니다.
한 성병에 감염된 경우
다른 종류의 성병검사까지 함께
진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