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해요 [창동 에이치큐브병원]

환절기가 되면서 기침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기침을 하는 이유는 다양한데 감기에 걸려서일수도 있고 코로나가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일시적인 알레르기에 의한 재채기나 천식이 될 수도 있죠. 요즘은 마스크를 벗고 생활하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밖에서 기침을 하게 되면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데요. 창동 에이치큐브병원에도 기침 증상을 호소하면서 내원하는 아이들이나 성인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수축되면서 좁아져 기침을 호소하는 만성호흡기 질환, 천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기관지가 좁아지면서 숨을 쉴 때 공기의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숨이 가쁘거나 가슴이 답답해지고, 가래와 같은 분비물이 생기거나 기침이 나는 증상입니다.

천식을 의심해볼 수 있는 증상은?
1. 천명 : 숨을 쉴 때마다 휘파람을 불 때처럼 쌕쌕거리는 소리가 납니다.
2. 가래 : 끈끈하고 덩어리 진 분비물이 나옵니다.
3. 기침 : 발작적인 기침이 반복되며 밤에 유독 심해집니다.
4. 흉부압박 : 가슴이 조이는 듯 답답합니다.
5. 호흡곤란 : 기관지가 좁아지면서 숨을 들이쉬고 내실 때 불편해 숨이 찹니다.

천식의 종류 중 기침이형 천식은 천명 증상이 없이 기침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데요.
아이들의 경우 특별한 이유가 없는데도 반복적으로 기침을 한다면 이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물론 처음부터 천식으로 발병하는 경우도 있지만 천식성 기관지염에서 이행된 경우도 있으니 소홀히 지나치기 보다는 창동 에이치큐브병원에 내원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천식의 치료를 위해서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은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털, 곰팡이 등 알레르겐 반응 요인이 원인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담배연기나 공해, 자극성 냄새 등 실내의 비특이적 자극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꽃가루 : 목초, 잡초, 화분 등에서 발생하는 요인
곰팡이 : 습도가 높은 부엌에 주로 발생하는 요인
집먼지진드기 : 카페트, 매트리스, 인형 등에 서식하는 요인
동물털 :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털에 서식하는 요인
공기 : 부모의 흡연이나 대기오염, 찬공기 등에 의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음
자극적 냄새 : 향수나 각종 스프레이 사용에 의해 강한 향이 나는 경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

창동 에이치큐브병원에서는 문진과 진찰을 통해 기침이나 천명, 호흡곤란 등의 증상 유무와 어떤 상황에서 심해지는지, 가족력이 있는지 등을 파악합니다. 폐 기능 검사를 통해 폐활량과 호기 속도를 측정하고 방사선 촬영을 통해 기관지가 얼만큼 좁아졌는지 관찰해 천식을 진단하죠.
천식의 특이 항체를 규명하기 위해 피부시험과 RAST, CAP, MAST 등 검사실 검사를 시행하며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와 항원 유발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아이들의 경우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 검사로는 확인이 어려울 수 있어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에 따라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여러 가지 검사를 통해 천식의 원인을 파악했다면 질환에 환경관리와 함께 약물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데요. 소아 천식 환자들의 경우 스스로 케어가 힘들기 때문에 부모님이 이해한 후 상세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을 피해야 하고, 구강 위생이나 손발의 청결을 항상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급성 증상이 있다면 집에서 자가치료를 할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